해외여행이나 출장, 유학, 이민을 가려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여권입니다. 여권은 본인의 신분과 국적을 증명하는 공식 서류로 발급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2025년 기준으로 여권 발급 방법과 필요 서류, 발급 비용 등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여권의 종류와 선택 기준

여권을 신청하기 전에 본인에게 맞는 여권 종류를 선택해야 합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발급되는 여권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 전자여권 (일반여권) |
가장 일반적인 여권, 전자칩 내장 | 10년 또는 5년 | 26면 또는 58면 | 모든 국민 |
긴급 여권 (단수여권) | 긴급한 출국이 필요한 경우 발급 | 1년 | 12면 | 해외 출국이 시급한 사람 |
관용여권 | 공무 출장 및 외교 관련 업무 수행자용 | 5년 | 48면 | 공무원, 공공기관 종사자 등 |
외교관 여권 | 외교관 및 고위 공무원 대상 | 5년 | 48면 | 외교관 및 정부 고위직 |
여행을 자주 다닌다면 유효기간 10년, 58면짜리 일반 전자여권을 추천합니다.
2. 여권 발급 신청 준비물

여권을 신청하려면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신청자의 연령과 기존 여권 유무에 따라 준비해야 할 서류가 조금씩 다릅니다.
신규 발급 (처음 여권 신청) | 여권용 사진 1장,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발급 신청서 |
유효기간 만료 전 갱신 | 기존 여권, 여권용 사진 1장, 신분증 |
분실 재발급 | 분실 신고서, 여권용 사진 1장, 신분증 |
미성년자 (만 18세 미만) | 법정대리인 동의서, 기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여권용 사진 1장 |
📌 여권 사진 규정
- 배경이 흰색인 3.5cm x 4.5cm 사진
- 정면을 바라보며 눈을 뜬 상태
- 안경 착용 시 테가 눈을 가리지 않아야 함
- 최근 6개월 이내 촬영한 사진
3. 여권 발급 신청 방법

① 여권 신청 장소
- 여권은 전국 여권사무 대행기관(구청, 시청, 군청 등)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해외에서는 해외 대사관 또는 총영사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② 신청 절차
- 거주지 관할 여권 발급 기관 방문
- 거주지와 관계없이 가까운 여권 발급 기관에서 신청 가능
- 여권 발급 신청서 작성
- 구청, 시청 등의 여권 창구에서 신청서 작성
- 2025년부터는 정부24(www.gov.kr)에서 사전 작성 가능
- 신청서와 구비서류 제출
- 준비한 서류와 함께 창구에 제출
- 수수료 납부
- 현금 또는 카드 결제 가능
- 여권 발급 완료 후 수령
- 발급 기간(5~7일) 후 방문 수령 또는 등기 우편 수령 가능
📌 TIP!
- 대리 신청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본인이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 단, 미성년자 및 장애인, 고령자의 경우 보호자가 대신 신청 가능하며 위임장이 필요합니다.
4. 여권 발급 비용

2025년 기준 여권 발급 수수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자여권 | 10년 | 58면 | 53,000원 |
전자여권 | 10년 | 26면 | 50,000원 |
전자여권 | 5년 | 58면 | 45,000원 |
전자여권 | 5년 | 26면 | 42,000원 |
단수여권 (긴급여권) | 1년 | 12면 | 20,000원 |
📌 TIP!
- 여권 분실 시 재발급 수수료(5,000~25,000원)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저소득층, 국가유공자, 장애인 등은 감면 혜택이 적용될 수 있으니 신청 전 확인하세요.
5. 여권 발급 소요 기간

일반적으로 여권은 신청 후 5~7일 정도 걸립니다. 다만, 긴급 출국이 필요한 경우 *긴급 여권(단수여권)*을 당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 전자여권 | 5~7일 | 대행기관 방문 후 수령 |
긴급 단수여권 | 당일 | 당일 발급 후 수령 가능 |
해외 대사관 발급 | 1~2주 | 해외 거주자의 경우 |
📌 TIP!
- 성수기(여름휴가, 연말연시)에는 신청자가 많아 발급 기간이 길어질 수 있으니 미리 신청하세요.
- 긴급 여권은 해외 출국이 임박한 경우(항공권 제출 필수)에만 발급됩니다.
6. 여권 분실 시 대처 방법
여권을 분실하면 즉시 신고하고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① 여권 분실 신고 방법
- 정부24(www.gov.kr)에서 온라인 신고
- 가까운 경찰서 또는 여권 발급 기관 방문 후 신고
- 해외에서 분실한 경우 대사관 또는 영사관에 신고
② 여권 재발급 절차
- 여권 분실 신고 후 분실 신고서 작성
- 신규 여권 신청과 동일한 절차 진행
- 기존 여권이 무효화되므로 반드시 새 여권 발급 후 출국
여권 발급, 미리 준비하세요!
여권은 해외 출입국 시 필수적인 서류이므로, 만료 기간을 미리 확인하고 갱신해야 합니다. 특히, 여행 일정이 잡혀 있다면 여권 발급 소요 기간을 고려하여 최소 한 달 전에는 신청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2025년에는 정부24를 통한 온라인 신청 및 모바일 발급 시스템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 보다 편리하게 여권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여권 신청 전 준비물을 잘 챙기시고 본인에게 맞는 유형의 여권을 선택하여 원활하게 발급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생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주민등록등본 발급 방법 – 인터넷, 무인발급기, 주민센터 총정리 (0) | 2025.04.02 |
---|---|
땅에 핀 무지개! 전국 튤립 명소 베스트 10 & 튤립 축제 일정 (2025년 기준) (1) | 2025.03.30 |
근육 뭉침 풀어주는 음식 6가지 – 효과적으로 피로를 푸는 방법 (0) | 2025.03.30 |
실시간 산불 위치 확인 – 산림청 지도, 재난포털 활용 꿀팁 총정리 (0) | 2025.03.29 |
디지털 관광주민증이란? – 제주, 강릉 등 체류 혜택 지역 확대! (0) | 2025.03.29 |